최종편집 : 2024-04-25 16:50 (목)
[도자기의 세계 여행 7] '본차이나'와 '웨지우드'의 나라, 영국의 도자기
상태바
[도자기의 세계 여행 7] '본차이나'와 '웨지우드'의 나라, 영국의 도자기
  • 김강호 기자
  • 승인 2019.08.21 1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열한 경쟁에서 탄생한 아름다움, 영국 도자기에 대해

[핸드메이커 김강호 기자] 유럽의 외딴 섬나라, 영국은 구석진 지리적 위치로 인해 오랫동안 대륙의 발달한 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애써왔다. 하지만 단순히 대륙의 문화를 받아들이기만 한 것이 아닌 그에 알맞은 자신만의 독특한 문화로 재창조하기도 했다.

유럽 도자기의 역사에서는 중국의 영향력을 빼놓을 수 없다. 유럽 대부분 도자기가 중국의 도자기를 갈망했던 욕망에서 발전했기 때문이다. 고령토와 유약을 사용하는 중국식 경질자기를 최초로 재현한 독일의 ‘마이센 자기‘가 만들어진 18세기 이전의 유럽의 기술력은 저온에서 질 낮은 흙을 구워 만드는 도기(陶器) 수준에 머물렀다.

대륙의 영향을 받아온 영국의 도자기

영국은 주로 런던, 리버풀, 브리스톨 등지에서 도기를 생산해왔다. 이들 도기는 당시 유럽에서 가장 뛰어났던 네덜란드의 델프트 도기, 이탈리아의 마욜리카 도기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물론 마욜리카와 델프트 도기 역시 중국과 이슬람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핸드메이커는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적인 기사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든 문화·예술 작품이 ‘기회의 순간’이 될 수 있도록 핸드메이커와 동행해 주세요.

후원하기

유럽의 도기 제품은 흙을 반죽해 만든 도자기 형태에 유약을 바르고 구워낸 연질 도기들이다. 비록 자기(瓷器)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나름대로 주석 유약, 코발트 안료 등을 활용해 아름다운 문양과 색깔로 장식을 하면서 중국 자기의 아름다움을 재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영국 '브리스톨 도기'는 중세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이 되나, 1683년 에드워드 워드가 만든 주석 유약을 바른 도기가 특히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도기는 델프트와 마욜리카, 중국의 기법과 문양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 많았다.

1709년 독일 작센주에서 '마이센 자기'가 완성된 후, 유럽 각국에서도 자신만의 경질자기를 생산해낸다. 자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카올린(kaolin)이라고도 불리는 고령토가 필요했으며 고령토의 비결을 알아낸 유럽 각국은 나라의 곳곳을 뒤져가며 고령토를 찾아냈다. 그러나 영국에는 고령토가 없었다. (이후 1750년에 콘월에서 대량의 고령토가 발견되었다.)
 

우아하고 따뜻한 백색, 본차이나의 탄생

대신 영국인들은 발상을 전환하였다. 고령토에만 매달리는 대신 다른 대체품을 찾기 시작한 것이다. 오랜 노력 끝에 영국은 드디어 고령토를 대체할만한 재료를 찾아내게 된다. 흙에 소를 비롯한 동물의 뼛가루를 섞어서 구운 것이다. ‘골회자기(骨灰磁器)’ 또는 ‘본차이나(bone china)‘라고도 불리는 새로운 도자기의 탄생이었다.

이러한 방법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토머스 프라이(Thomas Frye, 1710~1762)라는 도공이다. 그는 런던 동쪽 보우(bow)의 도자기 공방에서 일했다. 프라이의 공방은 도살장과 가까웠는데 우연한 계기로 1748년 뼛가루를 사용하면 도자기의 품질이 올라간다는 것을 알게 됐다.

하지만 토마스 프라이의 본차이나는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이후 1790년대에 조지아 스포드(josiah spode, 1733~1797)가 개량된 본차이나를 내놓는다. 프라이는 뼈를 동물의 지방질 등 다른 부위와 함께 구웠다. 하지만 스포드는 지방을 제거하여 순수한 뼛가루를 사용했다. 그리고 이 골회를 6, 차이나스톤(화강암) 4, 고령토 3.5의 비율로 섞어 도자기를 만들었다.

스포드의 정립과 함께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표준 본차이나 제조법은 인산칼슘(골회), 장석, 유리로 반투명한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인산 칼슘 (Ca3 (PO4 )2)의 함유율이 30% 이상 포함된 것이어야 한다. 그런데 요즘에는 인산칼슘 대신 뼈의 인을 사용하기도 한다.

골회자기는 저온에서 구워 자화가 덜 이루어진 '연질자기'와 고령토를 고온에서 구워내 견고해진 '경질자기'의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독특한 단계의 자기이다. 

하지만 그 매력은 경질자기에 뒤지지 않는다. 가볍고 얇지만 내구성이 좋고 다른 차가운 도자기에 비해 투광성과 따뜻함이 좋았다. 무엇보다 구워내면 모습을 드러내는 우아한 백색의 빛깔이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게 했다. 또한 다시 여러 번 굽는 것도 가능하며 구울수록 더욱 색깔이 부드러워진다고 한다.
 

...
  • 회원전용 기사입니다.
    로그인 후 기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회원가입

2017년 내내 뜨거운 감자였던 전안법은 현실과 다른 불합리함으로 수공예 작가들의 목을 죄어오는 올가미 같았습니다. 극적으로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많은 작가들이 한숨 돌릴 수 있게 됐지만 아직 바뀌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핸드메이커는 이러한 불합리에 ‘NO’를 외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손으로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일입니다. 그들은 실을 꿰 엮기도, 펜과 물감 으로 그리기도, 흙을 빚어내기도, 금속을 녹여 두드리기도, 정성스런 요리를 만들어 내기도 하면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만들고 있는 세상을 함께 들여다보려 합니다.

핸드메이커는 국내외 다양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취재하는 독립 매체로서 주체 적인 취재와 기사를 통해 여러 미디어·포털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가독성을 저해하는 광고 배너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도 있겠지만 이는 독자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핸드메이커가 다양한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된 기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후원이 필요합니다. 후원을 통해 핸드메이커는 보다 독자 중심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미래를 관통하 는 시선으로, 독립적인 보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곳이든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공간에는 항상 핸드메이커가 함께 하겠습니다. 작가들 의 작품이 누군가에게는 따뜻함으로,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기회의 순간이 되기를 희망합니 다. 앞으로 핸드메이커가 만들어갈 메이커스페이스에 동행해 주셨으면 합니다.

단 한차례라도 여러분의 후원은 큰 도움이 됩니다. 후원하기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응원해 주세요.

후원하기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경기도 시흥시 은계로338번길 36 3층 301호(대야동)
  • 대표전화 : 070-7720-2181
  • 팩스 : 031-312-10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리
  • 법인명 : (주)핸드메이커
  • 제호 : 핸드메이커(handmaker)
  • 등록번호 : 경기 아 51615
  • 등록일 : 2017-08-23
  • 발행일 : 2017-08-15
  • 발행·편집인 : 권희정
  • Copyright © 2024 핸드메이커(handmaker).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handmk.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