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0 07:00 (토)
[공예의 발자취]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망, 화장품의 역사
상태바
[공예의 발자취]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망, 화장품의 역사
  • 김강호 기자
  • 승인 2019.03.18 12: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다양하게 만들어진 세계의 화장품

[핸드메이커 김강호 기자]

'아름다움'을 위해 고대 이전부터 화장을 시작했던 인류

인간은 아름다움을 좋아하고 추구하는 본능이 있다. 그러한 본능으로 인해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을 하여 예술작품을 만들기도 하고, 밋밋했던 주변의 생활용품에 장식을 하여 미적 감각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것뿐만이 아니다. 이러한 아름다움의 추구는 사람의 얼굴에까지 미친다. 어쩌면 주변의 물건보다 얼굴을 꾸미는 메이크업(화장)이 그 역사가 더 오래되었을 수도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얼굴을 더 매력 있게 보이기 위해 좋은 성분이 든 물질을 발라 피부를 가꾸거나 색깔을 칠하는 분장으로 용모를 미화시킨다.

핸드메이커는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적인 기사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든 문화·예술 작품이 ‘기회의 순간’이 될 수 있도록 핸드메이커와 동행해 주세요.

후원하기

화장품을 사용했던 시기는 기원전 3500년경 이집트에서부터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이때는 종교적 목적으로 인한 화장이 많았다. 이집트인은 죽은 사람에게 향유와 방부제를 발랐다. 또한 파라오가 대중에게 나설 때에도 권위를 드높이기 위해 화장을 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의 화장도 발달했다. 이집트에서는 열대식물인 헤나의 즙을 머리 염색에 이용하거나 매니큐어로도 활용했다. 또한 밀가루 등 곡물을 얼굴에 바르며 치장을 하기도 하였으며 또한 쌀겨, 알로에 등에서 추출한 물질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했다.
 

동양에서 사용했던 화장품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도 아주 예전부터 화장품을 만들어 사용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고구려 벽화를 보면 여인들이 남자와 달리 유달리 얼굴이 희게 나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삼국시대에도 화장을 했던 것으로 추정한다.

동양에서는 쌀가루에다 백토, 황토 또는 조개껍질과 분꽃 씨앗을 갈아 만든 가루를 섞어서 분을 만들었다. 이 분가루에 물을 부어서 얼굴에 펴 바르고 건조하면서 화장을 했다. 혹은 가루에 밀랍, 꿀 등을 섞어 크림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얼굴의 볼을 빨갛게 만들기 위해서는 연지를 사용했는데 이 연지는 홍화 꽃잎을 쪄서 수분을 빼서 말린다. 그 다음에 가루를 내고 기름에 게워내서 발랐다. 또한 먹이나 재를 이용하여 눈썹을 짙게 표현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서는 화장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파레트인 분첩에 이들 다양한 가루를 담아 휴대하며 화장을 했다.

당장 얼굴을 치장해야 하는 메이크업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피부 관리에 신경을 썼다. 쌀뜨물이나 녹두 등 미백에 도움이 되는 물질로 세수를 하고 양반 계층의 부녀자들은 찧은 마늘에 꿀을 섞어서 팩을 하였다. 마늘은 기미를 예방하고 피부 보습과 미백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유럽 화장품의 발전과 세계화

한편 유럽인들 역시,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석회가루, 수은, 납, 헤나 등의 염료를 발라서 화장을 했다. 중세에 들어서는 종교적 이유로 인해 화장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움을 원하는 여성들에게 있어 화장에 대한 관심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중세에서는 연약함과 갸냘픔이 여성성의 상징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여성들은 창백해 보이는 피부를 위해 분필가루, 밀가루 등을 발랐고 심지어 피를 뽑기도 했다. 또한 밝은 금발을 만들기 위해 물푸레 나뭇잎, 식초, 덩기줄기의 재 등을 사용해 염색을 했다. 

근대 시대는 화학, 공업 기술의 발달로 인해 화장품이 급격하게 발전했고 대량생산화된 시기였다. 여성들은 꿀, 계란 흰자로 마스크를 하거나, 올리브 오일, 오트밀 등으로 크림을 만들었고, 옥수수, 녹말가루 등을 바르기도 했는데, 굉장히 다양한 화장법이 만들어진다.

또한 통신과 교류의 활성화로 지구가 점점 가까워지면서 서양의 화장품도 세계 각지로 퍼져나가게 된다. 명성황후는 납과 수은 성분이 든 서양의 화장품을 즐겨 사용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명성황후의 피부가 창백하고 푸르스름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납과 수은은 독성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1913년에는 미국 약사 윌리엄스가 바셀린에 석탄가루를 섞어 만든 물질을 눈썹에 발랐는데 눈썹이 훨씬 풍성하고 길어 보였고, 눈 역시 더 커 보이게 만들었다. 이것을 '마스카라'라고 한다.
 

...
  • 회원전용 기사입니다.
    로그인 후 기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회원가입

2017년 내내 뜨거운 감자였던 전안법은 현실과 다른 불합리함으로 수공예 작가들의 목을 죄어오는 올가미 같았습니다. 극적으로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많은 작가들이 한숨 돌릴 수 있게 됐지만 아직 바뀌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핸드메이커는 이러한 불합리에 ‘NO’를 외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손으로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일입니다. 그들은 실을 꿰 엮기도, 펜과 물감 으로 그리기도, 흙을 빚어내기도, 금속을 녹여 두드리기도, 정성스런 요리를 만들어 내기도 하면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만들고 있는 세상을 함께 들여다보려 합니다.

핸드메이커는 국내외 다양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취재하는 독립 매체로서 주체 적인 취재와 기사를 통해 여러 미디어·포털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가독성을 저해하는 광고 배너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도 있겠지만 이는 독자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핸드메이커가 다양한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된 기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후원이 필요합니다. 후원을 통해 핸드메이커는 보다 독자 중심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미래를 관통하 는 시선으로, 독립적인 보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곳이든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공간에는 항상 핸드메이커가 함께 하겠습니다. 작가들 의 작품이 누군가에게는 따뜻함으로,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기회의 순간이 되기를 희망합니 다. 앞으로 핸드메이커가 만들어갈 메이커스페이스에 동행해 주셨으면 합니다.

단 한차례라도 여러분의 후원은 큰 도움이 됩니다. 후원하기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응원해 주세요.

후원하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경기도 시흥시 은계로338번길 36 3층 301호(대야동)
  • 대표전화 : 070-7720-2181
  • 팩스 : 031-312-10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리
  • 법인명 : (주)핸드메이커
  • 제호 : 핸드메이커(handmaker)
  • 등록번호 : 경기 아 51615
  • 등록일 : 2017-08-23
  • 발행일 : 2017-08-15
  • 발행·편집인 : 권희정
  • Copyright © 2024 핸드메이커(handmaker).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handmk.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