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19 14:25 (금)
일제에 항거한 매천 황현의 절절한 기록, 문화재 된다.
상태바
일제에 항거한 매천 황현의 절절한 기록, 문화재 된다.
  • 이진 기자
  • 승인 2019.03.11 13: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핸드메이커 이진 기자] "내 일찍이 나라 위해 서까래 하나 놓은 공도 없었으니/내 죽음은 겨우 인(仁)을 이룰 뿐 충(忠)을 이루진 못했어라/이제 겨우 윤곡(尹穀)처럼 죽음에 거칠 뿐/그때의 진동(陳東)처럼 나라 위하지 못함이 부끄럽구나(會無支廈半椽功 只是成仁不是忠 止竟僅能追尹穀 當時愧不?陳東)"

조선말부터 대한제국기의 역사가이자 시인이며 독립운동가인 매천황현(1855~1910)의 절명시이다. 황현은 이같은 시를 남기고 순절하여 죽음으로서 일제에 항거했다.

문화재청은 「매천야록」, 「오하기문」, 「매천 황현 시문, 관련 유묵․자료첩, 교지․시권․백패통」, 「대월헌절필첩」의 등의 매천 황현이 남긴 기록과 「윤희순 ‘의병가사집’」,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등 총 6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고,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를 문화재로 등록하였다.

「매천야록(梅泉野錄)」은 매천 황현이 1864년 대원군 집정부터 1910년 경술국치까지 약 47년간의 역사 등을 기록한 친필 원본 7책이다. 이 책에는 세상을 어지럽게 하였던 위정자의 사적인 비리와 일제의 침략상을 낱낱이 드러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우리 민족의 끈질긴 저항 등을 담았다.

핸드메이커는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적인 기사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든 문화·예술 작품이 ‘기회의 순간’이 될 수 있도록 핸드메이커와 동행해 주세요.

후원하기

「오하기문(梧下記聞)」은 황현이 저술한 친필 원본 7책으로 자유로운 방식으로 당시의 역사를 보고 들은 대로 기록하였으며, 흔히 「매천야록」의 저본(底本, 초고)으로 추정된다. 19세기 후반부터 1910년까지의 역사적 사실과 의병항쟁 등을 비롯한 항일활동을 상세하게 전함으로써 한국 근대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오하기문’이란 표제는 황현이 거처한 정원에 오동나무가 있었는데, 그 아래에서 이 글을 기술하였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매천 황현 시문, 관련 유묵․자료첩, 교지․시권․백패통」은 매천 황현이 지은 친필 시문 7책과 황현의 저술, 그의 지기(知己)들이 보낸 서간,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기사 모음과 같은 다양한 자료를 포함한 유묵과 자료첩 11책, 황현이 1888년 생원시에서 장원급제한 교지와 시권, 그리고 이를 보관한 백패통이다.

「대월헌절필첩(待月軒絶筆帖)」은 황현이 1910년 8월 경술국치 다음 달인 9월에 지은 절명시(絶命詩) 4수가 담겨있는 첩으로, 양면으로 되어 있으며 서간과 상량문 등도 포함되어 있다. 황현은 절명시를 남기고 사랑채였던 대월헌에서 순절하였고, 정부에서는 고인의 충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윤희순 ‘의병가사집’」은 여성 독립운동가인 윤희순(1860~1935)이 의병들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지은 낱장의 친필 가사들을 절첩의 형태로 이어붙인 순한글 가사집이다. 여성 독립운동가의 문집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크고, 근대 가사와 한글 표기방식 등 국어학·국문학 연구 등의 중요 기록 자료로도 가치가 크다.

윤희순은 ‘안사람 의병가’, ‘의병군가’ 등을 작사·작곡하여 부르게 하고,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 의병운동을 고취(鼓吹)하고 지원하였다. 대한독립단에서 활동하고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하는 등 치열한 항일운동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은 한국전쟁 직후, 한양대학교 캠퍼스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1956년 대학 본부로 처음 건립되었다. 외관을 석재로 마감하고 정면 중앙부에 열주랑을 세우는 등 당시 대학 본관건물에서 보여주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디자인적인 요소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번에 등록 예고한 「매천야록」 등 6건은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에 등록된 등록문화재 제744호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는 1964년 건축가 최창규가 설계한 건물로 1985년에 공군사관학교가 충북 청주로 이전하면서 조성된 보라매공원 안에 있다. 옛 공군사관학교의 역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이 건물은 급경사로 디자인된 지붕형태와 수직성을 강조한 내부 공간 등이 당시 일반적인 교회건축의 형식에서 벗어난 독특한 건축기법으로서 의미가 있다. 지금은 서울시 동작구청에서 문화·예술공간(동작아트갤러리)으로 활용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등록된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를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
  • 회원전용 기사입니다.
    로그인 후 기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회원가입

2017년 내내 뜨거운 감자였던 전안법은 현실과 다른 불합리함으로 수공예 작가들의 목을 죄어오는 올가미 같았습니다. 극적으로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많은 작가들이 한숨 돌릴 수 있게 됐지만 아직 바뀌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핸드메이커는 이러한 불합리에 ‘NO’를 외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손으로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일입니다. 그들은 실을 꿰 엮기도, 펜과 물감 으로 그리기도, 흙을 빚어내기도, 금속을 녹여 두드리기도, 정성스런 요리를 만들어 내기도 하면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만들고 있는 세상을 함께 들여다보려 합니다.

핸드메이커는 국내외 다양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취재하는 독립 매체로서 주체 적인 취재와 기사를 통해 여러 미디어·포털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가독성을 저해하는 광고 배너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도 있겠지만 이는 독자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핸드메이커가 다양한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된 기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후원이 필요합니다. 후원을 통해 핸드메이커는 보다 독자 중심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미래를 관통하 는 시선으로, 독립적인 보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곳이든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공간에는 항상 핸드메이커가 함께 하겠습니다. 작가들 의 작품이 누군가에게는 따뜻함으로,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기회의 순간이 되기를 희망합니 다. 앞으로 핸드메이커가 만들어갈 메이커스페이스에 동행해 주셨으면 합니다.

단 한차례라도 여러분의 후원은 큰 도움이 됩니다. 후원하기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응원해 주세요.

후원하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경기도 시흥시 은계로338번길 36 3층 301호(대야동)
  • 대표전화 : 070-7720-2181
  • 팩스 : 031-312-10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리
  • 법인명 : (주)핸드메이커
  • 제호 : 핸드메이커(handmaker)
  • 등록번호 : 경기 아 51615
  • 등록일 : 2017-08-23
  • 발행일 : 2017-08-15
  • 발행·편집인 : 권희정
  • Copyright © 2024 핸드메이커(handmaker).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handmk.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