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3-19 11:55 (화)
[무형문화재 전통 장인] 건축물에 아름다움을 그린 장인, 단청장
상태바
[무형문화재 전통 장인] 건축물에 아름다움을 그린 장인, 단청장
  • 김강호 기자
  • 승인 2019.03.06 15: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핸드메이커 김강호 기자] 창덕궁, 경복궁, 불국사 등 유명한 우리나라의 궁궐과 사찰을 천천히 감상해보자

이들 건축 문화재의 건물 외벽을 보면 알록달록 다양한 색깔과 규칙적인 문양들이 입혀져 있다. 조금씩 서로 다르지만 옛 건축물들이 풍기는 영롱한 아름다움을 전부 갖추고 있다.

요즘 건설 현장에서는 페인트공이 직접 건물 외벽에 페인트를 칠하면서 장식을 한다. 그렇다면 페인트가 없던 시절인 옛날의 이러한 건축물에는 어떻게 칠을 했던 것일까?

우리의 옛 건물을 장식한 단청

핸드메이커는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적인 기사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든 문화·예술 작품이 ‘기회의 순간’이 될 수 있도록 핸드메이커와 동행해 주세요.

후원하기

전통 건축물에 그리는 그림을 단청이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단청을 그리는 장인은 단청장(丹靑匠)이라고 불렀다.  단청은 청·적·황·백·흑 이 다섯 가지 색깔을 자유롭게 칠하며 건축을 장식할 문양을 그린다. 단순한 장식 뿐만 아니라, 목재건물을 병충해와 비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도 했다.

단청은 주로 광물질로 만든 진채 또는 안채라는 안료를 이용해서 칠을 했다. 그 화려한 색깔 때문에 민간에서 사용하기보다는 권위 있는 왕실 건물에 주로 쓰이면서 웅장함과 위엄을 드러내는 역할을 하였다. 

단청은 한국, 중국, 일본 모두에서 나타나는 건축 양식이다. 하지만 산업화를 거쳐온 오늘날에는 대부분 명맥이 끊기고 말았으며 오직 우리나라에서만이 단청 기술을 계승해오고 있다.
 

단청의 역사

단청은 중국에서 유래되며 한나라 이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유물과 기록을 통해 삼국시대에서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고구려의 벽화에도 단청을 사용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또한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유명한 신라의 화가 솔거가 황룡사 벽에 소나무를 그렸는데 새들이 날아와 앉으려고 했다고 한다. 이후 솔거의 그림이 낡자 한 스님이 단청으로 보수했다고 한다.

불교의 수용 이후에는 단청과 불교문화는 서로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발전했다. 단청 무늬들에 불교적 색채가 강하게 녹아나게 된 것이다. 단청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연꽃 문양도 불교에서 가장 신성시하는 꽃이다. 특히 불교가 가장 영향력이 컸던 고려 시대에는 더욱 단청이 화려해졌다.

유교를 중심으로 했던 조선시대에도 단청문화는 계속 이어졌다. 오늘날 전해오는 단청은 대부분 조선의 것으로 그 이전 단청은 자료가 부족한 상태이다. 조선의 단청은 음양오행을 바탕으로 길흉화복을 기원하는 도교적인 양식과 검소함, 소박함을 강조하는 유교적 양식이 두루 어우러지며 발전했다.

한편, 조선에서는 단청장만 단청 업무를 맡은 것이 아니며 당시 그림 업무에 종사하던 화원, 화공, 도채장 및 사찰에 소속된 승려인 화승 등 다양한 이들이 단청 업무를 도맡았다.

물론 검소함을 강조하는 유교의 특성상, 몇 차례 사치스럽다는 이유로 조선 조정에서 단청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단청 기술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단청은 수십 년에 한 번씩 다시 한번 보수를 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었기에 단청장도 계속해서 작업을 해나갔고 이렇게 단청 기술은 해방 이후에도 계승되어 왔다.
 

단청을 하는 방법과 종류

단청을 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먼저 ①종이에 문양을 그리는 출초과정을 거친다. ②다음 도안에 따라 대바늘로 뚫는 천초와 초뚫기를 한다. ③아교를 넣고 묽게 끓인 물을 바탕에 바른 다음 다섯 번 가칠(바탕칠)을 한다. ④전체면에는 청녹색 흙을 바르는 청토바르기를 하고 ⑤초지본을 바탕에 맞추어 타분 작업을 한다. 타분은 초지본을 대고 분주머니로 두들기는 작업으로 백분이 묻어나 윤곽이 생기는 것이다.

타분이 완성되면 바로 본에 맞춰 천연안료로 제작한 물감으로 채색에 들어간다. 이밖에도 먹선과 분선을 긋는 작업, 점찍기, 주요 부분에 금박을 붙이는 작업 등으로 마무리해가며 단청을 완성한다.

단청의 종류는 ▲무늬 없이 단색으로만 칠하는 기본적인 단청인 가칠단청이 있다. ▲긋기단청은 가칠에 흑백선으로 검은색과 흰색으로 선을 그으며 마무리하는 것이다. ▲ 모로단청은 목재 끝의 머리 부분에 화려한 문양으로 마무리한 것을 말한다. ▲ 마지막으로 금단청은 단청의 꽃이라고 할 만큼 가장 화려하고 복잡한 단청이다. 오색을 현란하게 칠하는 것이며 예전에는 금가루를 함께 칠하기도 했다. 
 

...
  • 회원전용 기사입니다.
    로그인 후 기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회원가입

2017년 내내 뜨거운 감자였던 전안법은 현실과 다른 불합리함으로 수공예 작가들의 목을 죄어오는 올가미 같았습니다. 극적으로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많은 작가들이 한숨 돌릴 수 있게 됐지만 아직 바뀌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핸드메이커는 이러한 불합리에 ‘NO’를 외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손으로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일입니다. 그들은 실을 꿰 엮기도, 펜과 물감 으로 그리기도, 흙을 빚어내기도, 금속을 녹여 두드리기도, 정성스런 요리를 만들어 내기도 하면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만들고 있는 세상을 함께 들여다보려 합니다.

핸드메이커는 국내외 다양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취재하는 독립 매체로서 주체 적인 취재와 기사를 통해 여러 미디어·포털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가독성을 저해하는 광고 배너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도 있겠지만 이는 독자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핸드메이커가 다양한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된 기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후원이 필요합니다. 후원을 통해 핸드메이커는 보다 독자 중심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미래를 관통하 는 시선으로, 독립적인 보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곳이든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공간에는 항상 핸드메이커가 함께 하겠습니다. 작가들 의 작품이 누군가에게는 따뜻함으로,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기회의 순간이 되기를 희망합니 다. 앞으로 핸드메이커가 만들어갈 메이커스페이스에 동행해 주셨으면 합니다.

단 한차례라도 여러분의 후원은 큰 도움이 됩니다. 후원하기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응원해 주세요.

후원하기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경기도 시흥시 은계로338번길 36 3층 301호(대야동)
  • 대표전화 : 070-7720-2181
  • 팩스 : 031-312-10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리
  • 법인명 : (주)핸드메이커
  • 제호 : 핸드메이커(handmaker)
  • 등록번호 : 경기 아 51615
  • 등록일 : 2017-08-23
  • 발행일 : 2017-08-15
  • 발행·편집인 : 권희정
  • Copyright © 2024 핸드메이커(handmaker).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handmk.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