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0 17:40 (토)
[무형문화재 전통 장인] 조선 사람의 필수 모자는 갓! 갓일하는 장인들
상태바
[무형문화재 전통 장인] 조선 사람의 필수 모자는 갓! 갓일하는 장인들
  • 김강호 기자
  • 승인 2018.11.15 11: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핸드메이커 김강호 기자]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라는 말이 있다. 내 몸과 털은 부모에게 받은 것이라는 뜻이다. 유교 사상이 강했던 조선 사람들은 이에 따라 머리를 자르지 않고 평생을 내버려 두었다고 한다.

하지만 기른 머리를 산발로 마냥 둘 수는 없는 일이었다. 그래서 조선 사람들은 머리를 묶은 다음, 머리띠와 갓을 착용했다. 갓은 종류가 아주 다양하다. 여성용과 남성용이 있고 또 신분과 직급에 따라서도 달랐는데 양반들은 흑립, 정자관(놀부가 쓴 관), 사방관 등을 썼고 무당이 쓰는 호수갓, 관리가 쓰던 전립과 주립, 그리고 일반 양민과 천민들이 쓰던 초립과 패랭이 등이 있다.

갓은 사실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던 모자였지만 조선시대에 특히 대중적으로 크게 발달하게 됐다. 국가기관인 경공장에도 망건장·사모장·초립장 등 다양한 장인들을 두어 갓을 생산하게 했다.
 

오늘날 갓 만드는 일은 대중들에게 잊혀졌지만 갓은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머리를 보호해준 전통 생활용품이었다. 갓일은 오랜 시간과 인내심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순서와 종류도 많기 때문에 갓을 만드는 방법과 종류를 각자 따로 공정을 맡아 분업체제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오늘날 정부는 갓일하는 장인들을 중요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로 통합해서 지정하고 있지만 실제 장인들은 각자 분업과정을 주로 맡고 있다.

핸드메이커는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적인 기사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든 문화·예술 작품이 ‘기회의 순간’이 될 수 있도록 핸드메이커와 동행해 주세요.

후원하기

갓 만드는 장인들과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망건을 만드는 망건장이 있다. 망건은 조선 남자들이 상투를 틀고 모자를 쓰기 전에 머리 주위로 두르는 머리띠를 말한다. 원래는 명주실, 비단 등을 짜서 망건을 만들었으나 조선 중기부터는 말의 털인 말총을 주로 쓰기 시작했으며 흔하지는 않지만 사람의 머리카락을 쓰기도 했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66호 이수여, 강전향 장인이 있다.

탕건은 갓을 쓸 때 먼저 망건 위에 받쳐 쓰는 모자이다. 편하게 탕건까지만 쓰는 경우도 있었으며 '감투'라고도 부른다. 말총 또는 쇠꼬리 털로 만들었다. 만들 때는 탕건을 만드는 나무틀인 탕건골에 받쳐놓고 실로 엮은 후 골에 끼워서 삶아내서 더 단단하게 굳힌다. 그리고 먹을 진하게 바르고 햇볕에 말리면서 만들었다. 중요무형문화재 67호 김공춘 장인과 딸 김혜정 장인이 탕건을 만들고 있다.
 

갓을 만드는 공정은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갓의 아랫부분인 양태를 만드는 양태장, 윗모자를 만드는 총모자장 그리고 이 두개를 조립해서 갓을 완성하는 입자장이다. 이렇게 각자 장인들이 맡은 분업을 통해 갓을 완성했다고 한다.

양태는 대나무를 쪼개 만든 대오리(죽사)를 엮어서 만드는데 대나무를 아주 세밀하게 실같이 쪼개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오랜 시간과 숙련도가 필요하다고 한다. 총모자는 주로 말총을 이용해 엮어냈으며 입자장은 총모자와 양태를 조립하여 명주를 입히고 인두질, 아교칠, 옻칠등을 거쳐 완성품을 만들었다. 현재 장순자 양태장, 김인 총모자장, 정춘모·박창영 입자장 등이 있다.
 

...
  • 회원전용 기사입니다.
    로그인 후 기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회원가입

2017년 내내 뜨거운 감자였던 전안법은 현실과 다른 불합리함으로 수공예 작가들의 목을 죄어오는 올가미 같았습니다. 극적으로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많은 작가들이 한숨 돌릴 수 있게 됐지만 아직 바뀌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핸드메이커는 이러한 불합리에 ‘NO’를 외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손으로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일입니다. 그들은 실을 꿰 엮기도, 펜과 물감 으로 그리기도, 흙을 빚어내기도, 금속을 녹여 두드리기도, 정성스런 요리를 만들어 내기도 하면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만들고 있는 세상을 함께 들여다보려 합니다.

핸드메이커는 국내외 다양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발로 뛰며 취재하는 독립 매체로서 주체 적인 취재와 기사를 통해 여러 미디어·포털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가독성을 저해하는 광고 배너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도 있겠지만 이는 독자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핸드메이커가 다양한 현장을 발로 뛰며 독립된 기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후원이 필요합니다. 후원을 통해 핸드메이커는 보다 독자 중심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미래를 관통하 는 시선으로, 독립적인 보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곳이든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공간에는 항상 핸드메이커가 함께 하겠습니다. 작가들 의 작품이 누군가에게는 따뜻함으로,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기회의 순간이 되기를 희망합니 다. 앞으로 핸드메이커가 만들어갈 메이커스페이스에 동행해 주셨으면 합니다.

단 한차례라도 여러분의 후원은 큰 도움이 됩니다. 후원하기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문화·예술·산업 현장을 응원해 주세요.

후원하기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경기도 시흥시 은계로338번길 36 3층 301호(대야동)
  • 대표전화 : 070-7720-2181
  • 팩스 : 031-312-10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리
  • 법인명 : (주)핸드메이커
  • 제호 : 핸드메이커(handmaker)
  • 등록번호 : 경기 아 51615
  • 등록일 : 2017-08-23
  • 발행일 : 2017-08-15
  • 발행·편집인 : 권희정
  • Copyright © 2024 핸드메이커(handmaker).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handmk.com
ND소프트